취미론과 인상주의 (마네, 모네, 르느아르, 드가) 클로드 모네, <인상-일출, 1874> 안녕하세요? 마치코입니다. 이번 주에 수업할 내용의 교안을 올립니다. 공지한 바와 같이 "취미론"의 내용과 인상주의 화풍에 대한 교안인데요. 18세기에 일어난 취미론의 내용이 약간 난해한데, 그래도 교양으로서 취미론의 내용을 훑어보아야 겠죠? 외.. 인문학으로 명화 읽기 2016.05.16
19세기 리얼리즘- 구스타브 쿠르베 구스타브 쿠르베, <화가의 작업실, 1855> 이 작품은 화가로서 쿠르베의 프라이드를 상징하는 작품이라고 볼 수 있어서 먼저 제시한다. <검은 개와 함께 있는 자화상, 1842> 리얼리즘 계열의 작가로 소개할 다음 화가는 쿠르베Gustave Courbet(1819-1877)이다. 쿠르베는 프랑스 동부에서 부농.. 인문학으로 명화 읽기 2016.05.12
19세기 리얼리즘- 밀레 <만종, 1859> 다음은 프랑스와 밀레(Jean-Francois Millet,1814-1875) 작품을 보겠습니다. 그는 19세기 프랑스 자연주의 화가로서 파리 근교의 바르비죵(Barbizon)에 살면서 노동하는 촌부의 모습을 그리면서 신의 찬미를 실천해왔습니다. 밀레는 '농부의 화가'로 알려지면서 농사짓는 아낙네와 남.. 인문학으로 명화 읽기 2016.05.12
19세기 근대명화 (리얼리즘- 제리코) 테오도로 제리코, <옆모습 남자의 토르소, 1824> 안녕하세요? 마치코 입니다. 오늘은 19세기 회화로서 리얼리즘 계열의 작품들을 감상하겠습니다. 우선 제리코, 밀레, 그리고 쿠르베가 되겠습니다. 리얼리즘은 우리의 세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장면과 인물들을 자연스럽게 그리는 화.. 인문학으로 명화 읽기 2016.05.10
거실 베란다 정원의 장미존과 초여름 꽃들 안녕하세요? 마치코입니다. 장미존이 있었던 마치코의 거실 베란다 정원이 생각나나요? 베란다 정원에서 장미를 키우는 것은 장미에 잘 꼬이는 병충해 때문에 어려운 편이지요. 저희 베란다의 경우는 장미에 흰가루병이 종종 생김니다. 가장 큰 원인은 환기문제 때문이죠. 겨우내 베란다.. 베란다 정원, 나의 애목들 2016.05.03
장미의 개화 안녕하세요? 마치코 입니다. 오늘은 장미와 소소한 꽃들을 가지고 찾아 왔습니다. 이 장미는 현란하지는 않지만 온전히 반년 동안 안방 베란다에서 겨울을 나고, 초봄에 꽃망울을 단채 머물다가 드디어 개화를 한 녀석이랍니다. 별로 기대하지 않은 작은 나무에서 오묘한 색과 커다란 꽃 .. 베란다 정원, 나의 애목들 2016.05.03
신고전주의 작품으로 도미니크 앵그르의 작품 읽기 <그랑드 오달리스크, 1819>, 루브르 미술관 다비드의 작품 감상에 이어 장 도미니크 앵그르(Jean Dominique Ingres)의 작품을 감상하죠. 앵그르는 다비드의 제자이면서도 그의 작품과는 상이한 양식을 보이는데, 다비드의 작품이 "고귀한 단순성과 고요한 위대성"을 보이는 그리스 정신을 함.. 인문학으로 명화 읽기 2016.05.01
신고전주의 작가 자크 루이 다비드의 작품 읽기 신고전주의 예술은 1745년부터 나폴레옹 시대까지 프랑스 미술계의 지배적 양식이었으며, 계몽주의의 논리인 이성중심의 세계를 반영한다. 신고전주의 대표적 예술가는 Jacqus Louis David(1748-1825)와 그의 제자인 Jean August Ingres를 들 수 있다. 그들의 예술 세계에서는 고대의 그리스와 로마에 .. 인문학으로 명화 읽기 2016.04.30
브론펠지어 쟈스민 만만개, 그리고 엄마! 안녕하세요? 마치코입니다. 오늘 27일은 정말 브론펠지어 쟈스민이 만개를 했네요. 지난 번 22일에 포스팅한 것보다 5일 지나서요. 만개하고 보니 한 나무에서도 개화의 시점이 달라 보라색의 꽃잎은 거의가 흰색으로 탈색하였구요. 그래도 나무의 맨 밑은 몇송이가 꽃봉우리를 문채 오므.. 베란다 정원, 나의 애목들 2016.04.27